[학부 일기] 전자공학과 전공/반도체 공정 및 응용

[반도체공정및응용] Ion Implantation

러키세미 2023. 2. 24. 14:50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게시글은 ion implantation에 대해 이야기 해보려 합니다. 

이번에도 수식이 조금 있어서 그부분은 필기로 대체하고, 정리할 수 있는건 타이핑해서 최대한 정리해 보겠습니다!!


< Impurity Doping >

diffusion에 이어 ion implantation도 impurity doping의 한 방법입니다. 

위 그림과 같이 가속화된 dopant를 넣어주고, 일정 깊이에서 최대 농도를 가지는, Gaussian 분포를 가집니다.

 

 

< Ion Implantation >

  • Ion Implanter - High voltage Particle Accelerator

위는 ion implantation을 진행하는 implanter입니다. 각 번호로 매겨진 부분에 대해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Ion source

high voltage(25kV)에서 동작하는 ion source는 원하는 이온 포함된 gas가 주입되어 있습니다. 

강한 V로 인해 plasma형태로 변화되는데, plasma는 기체성질을 띄고 반응성이 높으며 쉽게 이온화 됩니다. 

이로인해 여러 이온들이 형성됩니다. 

 

Mass spectrometer(mass analysis)

자기장을 걸어 전류를 발생시켜 힘, Forse를 만들어 냅니다. 

그리고 투입된 이온들은 mass에 따라 경로가 휘게 되고 원하는 이온만 통과하게 만듭니다. 

자기장(magnetic field)과 원심력(centrifugal force)이 같아질 때 진행되고, field를 조절해 원하는 mass의 이온만 통과하게 합니다. 

 

High-voltage accelerator

통과한 이온들을 가속화 시켜 implant되게 합니다. 

Scanning system

주입된 이온의 수를 세 이온 주입의 진행을 파악

Target chamber

웨이퍼 장착해 이온주입을 진행

 

위 구조들을 통과하여 wafer에 이온들 주입하게 됩니다. 

 

 

  • Total dose Q

implanter를 이용해 total dose Q를 형성하게 됩니다. 

ion implantation의 장점은

여러 doping농도를 형성 가능하고 원하는 depth를 정확한 형태로 정밀하고 방향성있게 형성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아래 필기에서 Q의 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Project Range and Straggle

projected ion range(Rp)는 원하는 깊이 지점을 말합니다. doping을 지점에 얼마나 할 것인지 최대 지점을 말합니다. 

그리고 straggle은 ΔRp와 ΔRㅗ로 각각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의 오차를 말합니다. 

위 필기의 그림을 보면, 위 오차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multiple collision(여러번 부딛히며 더 깊게 doping되는 현상)과

channeling(고에너지로 인해 Si 사이를 통과해 더 깊게 doping) 두 현상이 다음 오차를 발생시킵니다. 

 

LSS theory를 이용하면 위 값들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 Selective Implantation

ion implantation을 막는 mask meterial이 존재합니다. 

 [ SiO2(1) / Si3N4(0.85) / PR(1.8) ] 

Si3N4는 주로 pad oxide로 사용되는데, hard mask로 침투가 잘 안되는 성질을 가집니다. 

각 물질 옆 괄호 안 숫자는 Rp의 얼마만큼이 mask동작을 하는지를 말하고 이 값을 곱한만큼의 값만큼의 물질이 필요하다는 의미입니다. 

이 값들 또한 계산을 이용해 minimum mask thickness를 구할 수 있습니다. 

 

  • Junction Depth

junction depth는 x_j로 나타내고 doping농도와 background 농도가 같은 곳의 깊이를 말합니다. 

이 또한 아래 식을 통해 구할 수 있습니다. 

 

  • Channeling

정렬된 Si atom에는 crystal에 open space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들어오는 ion flux의 각도가 Si atom과 부딪히지 않게 들어가면, channeling effect가 발생하며 더 싶은 doping process를 형성하게 되는 것입니다. 

ion channeling은 undesired dopant profile인 tail을 형성하게 됩니다. 

이를 줄이기 위해 tilt(기울기)를 가지고 wafer에 doping을 시키면 되는데, 이 방법을 사용하면 shadowing effect가 발생합니다. 

또 이를 해결하기 위해 post-implantation annealing을 진행하게 됩니다. 

 

 

  • Lattice Damage and Annealing

ion implantation을 진행하면 damage 영역이 생깁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annealing을 사용합니다. 

annealing은 damage 영역을 recovery하고 electrical activation을 진행시키고 구조 정렬도 진행됩니다. 

 

 

  • Shallow implantation

ion implantation의 가장 큰 장점은 shallow implantation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low energy와 rapid thermal annealing을 진행하면 얇은 junction, shallow junction을 만들 수 있습니다. 

 

추가적인 개념으로 TED(Transient Enhanced Diffusion) 는 Si에 damage를 주면 일시적으로 5-10배 정도 diffusion coefficient가 증가하게 되어 온도에 대해 더 깊게 진행될 수 있습니다. 

이는 tail의 문제를 야기하는 특이한 케이스 중에 하나입니다. 

 

  • RTA( Rapid Thermal Annealing )

RTA는 빠른 열 annealing과정입니다. 

rapid heating을 가해 빠르게 진행하고 몇 초에서 최대 몇분까지의 짧은 시간을 진행합니다. 

950-1050℃ 정도의 온도에서 50 /sec정도로 진행하고, 매우 낮은  Dt를 사용하기에 thermal budget에 큰 영향이 적습니다. 

그렇기에

channel에 원하는 profile을 형성하는 적합

한 방법으로 사용됩니다. 

아래 표는 RTA와 일반적 Furnace 과정을 비교한 표 입니다. 

 

 

< Ion Implantation for CMOS fabrication >

이러한 Ion Implantation은 CMOS 소자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 확인해봅시다. 

 

Well formation

device 작동 영역을 만들 때 사용합니다. 

높은 energy의 ion implantation을 진행하여 deep junction을 형성하게 됩니다. 

 

Vth adjustment

Vth는 소자의 동작중 가장 중요한 parameter입니다. 

이를 지정하기 위해 N_A를 지정하여 원하는 threshold voltage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LDD formation

소자가 scaling이 되면서 Short channel effect로 Vth가 변하게 됩니다.

L이 너무 작아짐으로 인해 E(=V/L)가 너무 증가하게 되면서 hot carrier effect가 발생하게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막기 위해 Source와 Drain 사이 영역에 doping이 덜 된 영역을 형성한 것이 바로 LDD입니다. 

 

 

④ Source/Drain formation

소자에서 무조건적으로 필요한 부분입니다. 

고농도로 highly doping(e20~21/cm3)로 n+를 위해 As, p+를 위해 B/BF2를 주입합니다.

Source와 Drain을 형성할 때 고려해야할 주요 parameter는 다음과 같습니다.

ⅰ. junction depth : SCE의 현상 중 하나인 punch through를 최소화

ⅱ. Rs : device performance의 degradation을 막아줌

 


 

여기까지 ion implantation 이었습니다. 

생각보다 분량이 적은데, 다음 글인 thin film deposition부분이 조금 많을 것 같네요 허허

그래도 4개정도의 글 이후 반공 내용이 끝날 것 같습니다 하하

글 봐주셔서 감사합니닷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