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 일기] 그 외 활동/공정실습

SPTA)반도체 소자 제작 및 전기적 특성 분석(심화) _ 공정 실습 Day 3 - contact 형성 및 Metal 증착

러키세미 2023. 3. 19. 18:16
반응형

이전 게시글과 이어집니다!


< 실습 과정 >Day 3 ) Contact 형성 및 측정 장비 사용법

 

< 실습 과정 >

 

1. Metal 증착

 

 - metal은 E-beam evaporation으로 증착 진행

evaporation 장비

 

 - wafer의 pattern 부분이 아래로 향하게 wafer holder에 끼운 뒤 장비에 끼움

wafer holder

evaporation 장비에 wafer 끼우

 

 - Al 고체를 녹이고 증기로 변환시켜 증착시킴. 

 - 내부 vacuum level이 높은, 즉 저진공에서 동작

 

 - 두께는 crystal oscillator로 측정할 수 있음

 

- metal 증착이 된 후, 내부 고에너지를 가진 전자들을 제거하기 위해 아래 과정 진

 - Al 증착을 진행한 후 결과

metal deposition 후!!

 

2. Contact metal patterning & etch

 

- contact부분에만 metal이 증착되어야 하기에 patterning과정을 재진행

HMDS 진행 후 PR coating
soft bake ...
pattern exposure (align 진행한 뒤에 했습니다!)
PEB 진행 (왼쪽 wafer)
develop & water cleaning 진행
inspection. 여기에서 얼룩덜룩함을 확인

 

- patterning된 wafer의 metal & PR을 etch하여 contact 형성!

- metal wet etch는 두 조씩 진행.

색 monitoring으로 wet etch의 정도 확인해야함!!!

 

metal wet etch 진행

형성된 metal 획안 (얼룩이 심함..ㅠㅠ)

 

- PR etch

PR strip 진

 

- wafer 제작 완료

완성된 wafer ...!!!!!!


이렇게 wafer에 소자들을 완성하였습니다..!

후에 돌아보니, contact 형성할 때 develop과정을 좀 더 진행해서 얼룩을 줄였으면.. 작동이 더 잘되었을 것 같네요

 

이렇게 실습이 끝나고 Fab-Out을 진행하였습니다!

다음 Day3 글에서는 이론적으로 배운 내용을 작성해볼게요~

반응형